입동은 말 그대로 겨울의 시작을 뜻하기도 하며, 전문적으로 풀이할 때 한 해를 24가지의 계절(절기)로 구분할 때 19번째 계절에 해당되기도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 입동 날짜
- 입동 뜻
- 입동 음식
- 입동 풍습
1. 입동 날짜
입동은 매 년 음력 10월에 해당되며, 양력으로 볼 때 11월 7일~8일 사이에 위치합니다. 올해 2022년 기준으로 입동 날짜는 11월 7일입니다. 즉, 11월 7일이 되면 본격적인 겨울의 시작으로 생각하면 된다는 뜻입니다.
2. 입동 뜻
들어갈 입, 겨울 동 한자가 더해져 말 그대로 겨울의 시작이지만, 최근에는 이상기후로 인해 겨울의 시작 치고 날씨가 크게 춥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입동에 10~15도로 비교적 온화한 날씨를 보이며, 물론 강원도 산간지방에 가면 이미 눈을 내리기도 합니다. 어찌 되었던, 입동이 되면 한낮에도 제법 쌀쌀한 바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때가 되면 야외에는 푸릇푸릇한 풀이 없기에 일반 농가에서는 수확하고 남은 볏짚을 마시멜로우처럼 동그랗게 포장하여 포장하곤 합니다. 포장하여 겨우내 소가 먹을 여물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3. 입동 음식
입동 음식으로는 겨울이다 보니 제출 과일이 많지 않습니다. 단 대표적으로 따뜻한 남쪽 제주에서 나는 한라봉과 귤이 있습니다. 그 외 입동 음식으로는 제철인 굴과 과메기, 가리비, 꼬막이 있습니다. 번외로 무가 겨울이 되면 실해지기에 소고기 뭇국이나 추어탕, 시래기 된장국도 많이 먹습니다.
4. 입동 풍습
옛 조선시대에는 입동이 되면 겨울을 무탈하게 보내길 바라는 마음으로 고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보통 그 해 가을에 수확한 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고 가정의 평화를 기원했고, 겨우내 기르는 소에게도 시루떡을 나눠 영양을 보충했다고 합니다. 보통 날씨가 더 추워지기 전인 이때 김장을 하기도 합니다. 비슷한 속담으로 '입동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서양도 비슷한 문화가 있는데, 전통적인 핼러윈 데이 이튿날이 겨울의 시작으로 보았다고 하니 전 세계 모두 공통으로 갖고 있는 겨울맞이의 시작이라고 보면 됩니다.
입동이 시작되면 기온이 서늘해지고, 사람과 동물 모두 활동량이 떨어지는 시기가 되어 면역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하여 충분한 제철음식을 섭취하고 틈틈이 운동을 하여 기력을 보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뉴스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서매직, 처서 뜻, 처서 날짜 속담 한자 뜻 알아보기 (1) | 2022.10.18 |
---|---|
추분 뜻, 추분 날짜, 추분 인사말, 추분 절기, 추분 영어로 알아보기 (0) | 2022.10.14 |
입춘 날짜, 입춘 뜻 입춘 한자 입춘 영어로 알아보기 (0) | 2022.10.14 |
동짓달 뜻, 동짓날 놀이, 동짓날 팥죽을 먹는 이유 정리 (0) | 2022.10.14 |
절기는 사이언스 신기한 절기 알아보자 (0) | 2022.10.12 |